
멸종동물(Extinct Animals)은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나뉩니다.
1. IUCN 적색 목록(Red List) 기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은 멸종위기종을 여러 등급으로 나누며, 멸종동물도 이에 포함됩니다.
- EX (Extinct, 멸종): 자연에서뿐만 아니라 사육 환경에서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 EW (Extinct in the Wild, 야생 절멸): 자연 상태에서는 멸종했지만 동물원이나 보호시설에서만 존재하는 경우

<스테고사우루스 - 중생대 쥐라기 후기 아메리카의 미국과 유럽의 포르투갈에서 살았던 조반목의 공룡류>
2. 생물학적(분자계통학적) 분류
분류학적 체계에 따른 분류 (Taxonomic Classification)
계(Kingdom)와 문(Phylum) 수준:
모든 동물은 동물계(Animalia)에 속하지만, 이후 문(예: 척삭동물문, 절지동물문 등)에서부터 각 동물군이 갈라집니다.
[강(Class)별 세분화]
- 포유류 (Mammalia): 매머드, 검치호랑이, 태즈메이니아호랑이(실제 멸종한 대표적 포유류)
- 조류 (Aves): 도도새, 카롤리나앵무, 모아 등(대부분 섬 고유종으로 인간 활동 후 멸종)
- 파충류 (Reptilia): 공룡류(티라노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 등, 비행 능력이 없었던 비조류 공룡), 멸종된 일부 뱀과 거북이
- 양서류 (Amphibia): 일부 지역에서 기록된 특정 종의 양서류가 환경 변화나 질병으로 인해 사라짐
- 어류 (Pisces): 화석 기록이나 역사 기록을 통해 멸종한 고대 어종들이 존재
- 무척추동물 (Invertebrates): 예: 삼엽충, 암모나이트, 고대 갑각류 등
[고생물 분류]
화석 기록에 기반해 고생대, 중생대, 신생대 등 시대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으며, 이때 생물군 간의 계통 발생적 관계를 재구성합니다.

<태즈메이니아 호랑이>
3. 시대별(지질 시대별) 분류
가. 고생대 (Paleozoic Era, 약 5억 4천만 ~ 2억 5천만 년 전)
- 특징: 초기 다세포 생물과 다양한 무척추동물이 주를 이루며, 삼엽충, 초기 어류 등이 포함됨
- 예시: 삼엽충, 오르토세라스 등
나. 중생대 (Mesozoic Era, 약 2억 5천만 ~ 6천 6백만 년 전)
- 특징: 공룡, 익룡, 초기 조류와 포유류 등이 등장하며, 대규모 멸종 사건(예: 백악기-팔레오기 멸종 사건)으로 많은 종이 사라짐
- 예시: 티라노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 익룡 등
다. 신생대 (Cenozoic Era, 약 6천 6백만 년 전부터 현재)
- 특징: 포유류와 조류의 다양성이 증대되고, 인간의 활동에 의해 많은 종이 멸종됨
- 예시: 매머드, 검치호랑이, 기타 대형 포유류 및 섬 고유종(도도새, 모아 등)
4. 멸종 원인에 따른 분류
가. 자연적 멸종 (Natural Extinction)
- 원인: 기후 변화, 화산 활동, 소행성 충돌 등 대규모 자연 재해 및 생태계 내 경쟁으로 인한 멸종
- 예시: 백악기-팔레오기 멸종 사건으로 인한 비조류 공룡의 멸종
나. 인간 활동에 의한 멸종 (Anthropogenic Extinction)
- 원인: 과도한 사냥, 서식지 파괴, 외래종 도입, 환경오염 등
- 예시: 도도새, 카롤리나앵무, 태즈메이니아호랑이 등.
역사적으로 기록된 멸종 동물 중 다수가 인간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영향으로 사라짐
5. 지리적 분류
가. 대륙별 분류
- 예시:
북미: 매머드, 검치호랑이, 원시 포유류 등
남미: 고대 대형 초식동물 및 일부 독특한 종
아시아: 아시아 매머드와 관련된 종들
아프리카: 일부 고대 멸종 동물과 현존하는 종들의 조상
유럽: 고대 환경 변화로 인한 멸종 기록 등
나. 섬 고유종 분류
- 특징: 섬 생태계는 외부 침입 종이나 급격한 환경 변화에 취약하여, 한정된 분포의 고유종들이 멸종하는 경우가 많음
- 예시: 도도새(모리셔스 섬), 모아(마오리 제도 등)

<모리셔스 섬의 도도새>
6. 보존 상태 및 기록 방식에 따른 분류
가. 화석 기록 기반 분류
- 특징: 주로 고생대부터 신생대 초기의 동물들이 화석으로 남아 있으며, 계통 발생 및 환경 변화를 연구하는 데 활용됨
- 예시: 삼엽충, 암모나이트, 공룡 화석 등
나. 역사 기록 기반 분류
- 특징: 인류 역사나 문헌 기록을 통해 멸종 사실이 알려진 동물들
- 예시: 도도새, 카롤리나 앵무, 태즈메이니아 호랑이 등

<카롤리나 앵무>
7. 생태학적 역할 및 기능에 따른 분류
가. 생태계 내 역할 분류
- 포식자: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서 멸종 후 식물군과 다른 동물군의 균형 변화
- 초식자: 특정 식생 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멸종 시 생태계 내 식물 다양성에도 영향을 줌
- 기회 포식자/분해자: 멸종된 동물이 생태계 내에서 맡았던 특정 역할(예: 시체 처리, 영양 순환 등)을 재평가하는 분류
나. 생태계 서비스 변화에 따른 분류
- 예시: 멸종으로 인해 특정 지역의 생태계 기능(예: 씨앗 전파, 토양 구조 유지 등)이 크게 달라진 사례들을 연구
결론
멸종동물의 분류는 단순히 한 가지 기준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 생물학적/계통학적 기준
- 지질 시대별 분류
- 멸종 원인 (자연 vs 인간)
- 지리적 분포
- 보존 및 기록 방식
- 생태학적 역할
등 여러 관점에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이들 기준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멸종동물의 다양성과 역사, 그리고 생태계 내 영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게 됩니다.
'과학 > 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자취를 감춘 '포클랜드늑대' (1) | 2025.02.27 |
---|---|
호주의 신비로운 생명체, 오리너구리! (5) | 2025.02.26 |
살아있는 화석 귀여운 생존자, 가시두더지! (4) | 2025.02.26 |
뉴질랜드 대표 토종 키위! (과일아님) (3) | 2025.02.25 |
멸종위기의 날지못하는 새 '카카포' (3)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