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은 혈당 조절 장애로 인해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만성 질환이다.
특히, 혈당 조절이 지속적으로 실패할 경우 돌이킬 수 없는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당뇨병 합병증은 혈관의 손상과 신경 손상을 통해 다양한 신체 기관에 영향을 미치며,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글에서는 당뇨병으로 인한 비가역적인 합병증의 종류와 위험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당뇨병 합병증의 주요 유형
당뇨병 합병증은 크게 급성 합병증과 만성 합병증으로 나뉜다.
1) 급성 합병증
급성 합병증은 혈당이 급격히 변동할 때 발생하며,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응급상황을 유발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고삼투압성 고혈당 상태(HHS), 저혈당 쇼크 등이 있다.
이들은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2) 만성 합병증
만성 합병증은 장기간의 고혈당으로 인해 발생하며, 여러 장기에 걸쳐 점진적으로 손상을 초래한다.
만성 합병증은 대체로 미세혈관 합병증(세동맥 손상)과 대혈관 합병증(큰 혈관 손상)으로 구분된다.
- 미세혈관 합병증 : 망막병증, 신장병증, 신경병증 등
- 대혈관 합병증 :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 등
이제 당뇨병으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합병증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2. 당뇨로 인한 돌이킬 수 없는 주요 합병증
1) 당뇨병성 망막병증 (Diabetic Retinopathy) – 실명 위험
① 원인
망막의 모세혈관이 손상되면서 출혈, 부종, 신생혈관 형성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실명에 이를 수 있다.
② 진행 과정
가. 비증식성 망막병증 : 망막의 미세혈관 출혈이 시작되지만 시력 저하는 크지 않다.
나. 증식성 망막병증 : 신생혈관이 형성되며 망막 출혈과 부종이 심해진다.
다. 황반부종 : 망막 중심부인 황반에 부종이 발생하면 시력 저하가 급격하게 진행된다.
라. 망막박리 : 망막이 분리되면서 영구적인 실명이 발생한다.
③ 위험성
당뇨병 환자 중 약 50%가 망막병증을 겪으며, 당뇨병을 20년 이상 앓은 환자의 90%가 발병 위험이 있다.
조기 치료가 없으면 실명 위험이 높아진다.
2) 당뇨병성 신증 (Diabetic Nephropathy) – 만성 신부전
① 원인
고혈당으로 인해 신장의 사구체(Glomerulus)가 손상되며,
단백뇨가 발생하고 결국 신장 기능이 저하된다.
② 진행 과정
가. 미세알부민뇨 단계 : 초기에는 단백뇨가 소량 검출된다.
나. 임상적 신증 단계 : 단백뇨가 심해지고 신장 기능이 저하된다.
다. 말기 신부전 :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투석이나 신장이식이 필요한 단계로 진행된다.
③ 위험성
당뇨병 환자의 약 40%가 당뇨병성 신증으로 인해 신부전을 겪으며,
결국 혈액투석이나 신장이식을 받아야 생존이 가능하다.
3) 당뇨병성 신경병증 (Diabetic Neuropathy) – 말초 및 자율신경 손상
① 원인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신경을 둘러싼 혈관이 손상되면서 신경세포가 영구적으로 손상된다.
② 증상
가) 말초신경병증 : 손과 발에 저림, 감각 저하, 극심한 통증 발생
나) 자율신경병증 : 심혈관계, 소화기계, 비뇨기계의 기능 이상 발생
A, 위마비(Gastroparesis) : 위의 운동이 저하되어 만성 소화불량, 구토 유발
B. 기립성 저혈압 : 갑자기 일어날 때 어지러움 발생
C. 발기부전(남성), 방광기능 저하(소변 저류)
③ 위험성
신경이 손상되면 되돌릴 방법이 없으며, 점점 악화된다.
특히, 감각 저하로 인해 발이 썩어 들어가는 당뇨발(당뇨병성 족부병증)이 발생할 경우 절단(Amputation)이 필요할 수 있다.
4)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 – 심근경색, 뇌졸중
① 원인
혈당이 높으면 동맥경화(Atherosclerosis)가 가속화되며,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
② 위험 질환
가. 관상동맥질환(CAD) : 심장 혈관이 막혀 협심증, 심근경색을 유발
나. 뇌졸중(Stroke) : 뇌혈관이 막히거나 출혈로 인해 뇌경색, 뇌출혈 발생
다. 말초동맥질환(PAD) : 다리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여 괴사(절단 위험) 발생
③ 위험성
당뇨병 환자의 사망 원인 1위는 심혈관질환이다.
당뇨병이 있을 경우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일반인보다 2~4배 높다.
3.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는 방법
① 혈당 조절 유지 : HbA1c(당화혈색소) 7.0% 이하 목표
② 혈압 및 콜레스테롤 관리 : 고혈압, 이상지질혈증을 적극적으로 치료
③ 생활 습관 개선 : 저탄수화물 식단, 규칙적인 운동, 금연, 절주
④ 정기 검진 필수 : 망막검사, 신장기능 검사, 신경검사, 심혈관 검사
결론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은 일단 발생하면 돌이킬 수 없는 경우가 많다.
특히, 실명, 신부전, 신경병증, 심혈관질환은 생명을 위협하거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하지만 조기에 혈당을 철저히 관리하고 생활습관을 개선한다면 합병증의 발생을 늦추거나 예방할 수 있다.
당뇨병 환자는 정기 검진을 통해 현재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적극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건강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 건강을 지키는 식재료 10가지 vs 신장을 나쁘게 만드는 식재료 10가지 (11) | 2025.03.15 |
---|---|
당뇨 합병증의 완전 치료 가능성 및 현실적인 접근 방법 (11) | 2025.03.09 |
늦은 밤 허기질 때, 건강하게 채우는 똑똑한 야식 가이드! (9) | 2025.03.06 |
성인병 예방과 영양 균형 잡힌 식사법 (4) | 2025.03.03 |
설탕 대체제 및 인공감미료, 단맛의 과학과 건강 (14) | 2025.03.02 |